티스토리 뷰

기름값 계산기 간단한 사용방법

 

자동차를 구매하기 전에는 잘 몰랐는데 자차를 보유하고 난 뒤 부터는 기름값에 굉장히 예민해지더라구요. 웬만하면 가장 저렴한 주유소만 이용하고 있는데요. 저는 기름을 꽉 채우지 않고 적당량만 주입하기 때문에 초행길을 운행하게 될 때에는 항상 목표지점까지의 거리와 기름값을 계산해보곤 합니다. 기름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
 

 

기름값 계산기는 우리가 자주이용하는 포털사이트에서 추가 플러그인이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바로 '길찾기'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인데요. 요즘에는 포털사이트에서 이런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편의기능을 다양하게 제공해 굉장히 좋은것 같습니다.

 

길찾기 서비스 페이지로 이동해서 출발지와 도착지를 각각 검색하여 설정하도록 합시다.

 

 

도착지 및 목적지 설정을 완료하셨다면 우측의 '길찾기' 버튼을 누르도록 합시다. 위와 같은 화면으로 접속될 텐데요. 우측에서는 이동경로를 확인해볼 수 있으며 좌측에서는 소요시간, 주행거리, 주유비 등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. 현재 보여지는 주유비는 본인의 차종 및 연비에 맞는 값이 아니기 때문에 기름값 계산기의 설정을 변경 할 필요가 있습니다. '요금설정' 버튼을 누르도록 합시다.

 


 

가장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. 본인의 차종 및 유종 그리고 본인의 자동차의 연비를 입력해 넣은뒤 아래의 '설정완료'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.

 

 

설정이 변경되면 이에 맞게 주유비도 변하게 됩니다. 사용방법 참 간단하죠?

 

기름값 계산기에 대해서 알아 보았는데요. 초행길이라 얼마만큼의 주유비가 나올지 궁금하신 분들은 간단한 사용방법의 포털 길찾기 서비스를 이용해 보시길 바랍니다.

 



댓글